https://www.acmicpc.net/problem/15806 통학이 너무나도 하기 싫었던 영우는 결국 학교의 기숙사에 들어갔다. 통학의 고통에서 해방된 기쁨도 잠시, 학교 기숙사에서는 일정 기간마다 청소 검사를 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청소 검사에서 나쁜 점수를 받으면 벌점을 받게 되고, 벌점이 많이 쌓이면 기숙사에서 퇴사 해야 한다. 영우는 어떤 경우에 벌점을 받는지 궁금하여 기숙사에서 진행하는 청소 검사 시스템에 대해 자세히 조사해 보았다. 기숙사 청소 검사 시스템은 오늘로부터 정확히 t 일이 지나고 검사를 하며, 검사 시간 단축을 위해 방의 특정 부분만 검사한다. 하지만 검사하는 특정 부분 중 한 곳이라도 더럽다면 영우는 벌점을 받게 된다. 영우가 사는 방은 N * N 정사각형 방이며..
부분합은 특정 구간의 합을 효율적으로 계산하기 위해 누적합을 활용하는 방법이다. 입력할때 전부 더해두고 이후에 재사용한다는 계념이다. 그래서 최소 한번이상 사용해야 이득이다. 1차원배열은 index = [1] [2] [3] [4] [5] [6] 이 있다 DP = [1] [3] [6] [10] [15] [21] 배열을 만들어준뒤 배열은 이전값에서 M을 더한 값 [N]= [N-1] + M 3번부터5번값 을 구해야 한다면? 아래처럼 3 부터 5까지 index를 하나씩 올리며 구해도 괜찮다. [1] [2] [3] [4] [5] [6] 1 2 3 4 5 6 ..
유니티에는 단축키를 쉽게 확인하고 단축키를 지정할수 있는 기능이 있다.게임엔진 답게 다른 프로그램보다 확인하기 쉽게 되어있다. 너무 간단한 기능이기에 이런게 있구나 하고 어떤 단축키들이 할당되어있는지 보고 넘어가도 좋다. 한번 보도록 하자. 우선 Shortcuts을 키는 법은 Edit -> Shortcuts.. 에서 확인할수 있다.누르면 창이 하나 켜진다. 아래와 같은 창이 켜지는 것을 확인할수있다.키에 마우스를 올리면 어떠한 단축키가 할당되어있는지 확인할수있다.색마다 다른데유니티에는 단축키를 쉽게 확인하고 단축키를 지정할수 있는 기능이 있다. 게임엔진 답게 다른 프로그램보다 확인하기 쉽게 되어있다. 한번 보도록 하자. 우선 쇼우올컷 을 키는 법은 Edit -> Shortcuts..아래와..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43164 프로그래머스코드 중심의 개발자 채용. 스택 기반의 포지션 매칭. 프로그래머스의 개발자 맞춤형 프로필을 등록하고, 나와 기술 궁합이 잘 맞는 기업들을 매칭 받으세요.programmers.co.kr BFS와 DFS 문제 레벨3 단계의 여행경로 문제다. 이해하는 데 확실히 오래 걸린 문제다 처음 생각은 그냥 DFS 문제인 줄 알고 알파벳 정렬 후 빠른 순으로 탐색하였다. 풀면 채점 시 1번 2번 실패, 3번 4번 성공한다. 생각해 낸 아이디어는 위 문구처럼 무조건 다 갈 수 있다는 이야기는 만약 끝까지 탐색 DFS를 했을 경우에도 모든 티켓(간선)을 사용하지 않았다면 그 간선은 마지막에 방문해야..
틀린점이나 이상한점 질문 등이 있을경우 아래 댓글로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타잔 Tarjan 타잔 알고리즘은 SCC 를 찾는 알고리즘이다. SCC란? (Strong Connection Component) 강결합 컴포넌트 간단하게 서로 연결되어있는 순한 노드끼리 묶어준다고 생각하면 쉽다. 크게 두개의 알고리즘이 있다고 볼수있는데코사라주 알고리즘과 타잔 알고리즘이다. 이번엔 타잔 알고리즘을 설명하려 한다. 맨 아래에는 pc로 접속시(모바일은 사용불가) 코드를 눈으로 보며 생각과 맞는지 확인해볼수 있으니 본문을 읽어본뒤 테스트를 해보자. 알고리즘의 큰틀을 먼저 이해하면 구현자체는 쉽게 할수있다. 타잔알고리즘의 순서는 우선 함수 전 count = 노드번호와 상관없이 노드를 처음탐색했을경우 ..
원하는 도장, 스프레이 기능, 또는 자연스럽게 꾸미는 기능이 필요할경우 HDRP 유니티의 기능중 decal 기능을 사용할수있다 아래의 이미지 처럼 두개의 오브젝트에도 자연스럽게 위에 그릴수있다. 현재 사용한엔진은 2022.2.20f 버전의 데칼이다. Component 에서 HDRP Decal Projector 을 추가해준다. 이전 기능에서는 projecter 으로 일반에서도 쓸수있던 기능이지만 HDRP 로 변경되었다. 우선 새로운 Material 을 생성해준다 shader을 decal로 선택하여준다 위처럼 이미지를 넣어준 머터리얼을 아까 추가해준 Decal Projector 의 material 에 넣어주면 끝이다. 아래와 같이 데칼의 경우 네모상자와 방향이 표시된다 방향에 맞게 비치할경우 이미지가 그려진..
내가 이해한 위상정렬을 간단하게 정리해 보겠다. 위상정렬은 순환하지 않는 비순환 방향 그래프 에서만 가능하다. https://ko.wikipedia.org/wiki/%EC%9C%84%EC%83%81%EC%A0%95%EB%A0%AC 위상정렬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상 정렬(topological sorting)은 유향 그래프의 꼭짓점들(vertex)을 변의 방향을 거스르지 않도록 나열하는 것을 의미한다. 위상정렬을 가장 잘 설명해 줄 수 있는 예 ko.wikipedia.org 위상정렬의 구현방법은 정말 간단한 순서로 알수있다. 1. 자신을 가리키는 간선이 없는 노드 들을 큐에 넣어준다. 2. 큐에 있는 노드를 받아준다. 3. 노드가 가리키는 간선을 지워준다. ..
처음 풀어보는 백준의 플래티넘 문제. 내가 풀었던 방식 부터 적을 생각이다. 우선 문제는 이름 그대로 최단 경로가 아닌 거의 최단 경로를 찾는다. 그래프에서 최단경로들의 간선을 제외한 그다음에 나오는 최단경로를 찾는 문제 우선 생각했던 방법은 다익스트라로 간선들을 지우면서 나간뒤 다익스트라를 한번더 돌릴예정이였다. 그렇게 테스트 하였지만 결과는 8% 실패 실패 이유는 다익스트라로 간선을 지울경우 간선이 하나만 지워지는 문제가 생긴다. 위 의경우 최단경로는 두개로 1 2 4 5 와 1 3 4 5가 있다. 거의 최단경로는 저두개를 제외한 1 ->5인 이여야 하지만 경로를 먼저 지워주게 될경우 4->5가 공유되지않으면서 거의최단경로는 6이 나오게된다. 정상적인경우 위처럼 최단경로들을 제외하여 4->5로가는 길..
- Total
- Today
- Yesterday
- 프로그래머스
- 무료 gpt 유니티
- 노미노
- 구간끼리 덧셈
- 알고리즘
- c#
- Topologically sorted
- 프로그래머스:여행경로
- ??
- 영우의 방청소
- HDRP
- 오블완
- 유니티
- 타잔 알고리즘
- null
- 색종이 자르기
- Cpp
- 내가 자주씀
- 토맛토마토
- 석유 시추
- 토마토맛토
- 유니티 데칼 (decal)
- 티스토리챌린지
- 백준
- 함수
- unity
- 도넛과 막대그래프
- tarjan
- cpp 알고리즘
- Algorithm
|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 1 | ||||||
| 2 | 3 | 4 | 5 | 6 | 7 | 8 |
| 9 | 10 | 11 | 12 | 13 | 14 | 15 |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