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니티에는 단축키를 쉽게 확인하고 단축키를 지정할수 있는 기능이 있다.게임엔진 답게 다른 프로그램보다 확인하기 쉽게 되어있다. 너무 간단한 기능이기에 이런게 있구나 하고 어떤 단축키들이 할당되어있는지 보고 넘어가도 좋다. 한번 보도록 하자. 우선 Shortcuts을 키는 법은 Edit -> Shortcuts.. 에서 확인할수 있다.누르면 창이 하나 켜진다. 아래와 같은 창이 켜지는 것을 확인할수있다.키에 마우스를 올리면 어떠한 단축키가 할당되어있는지 확인할수있다.색마다 다른데유니티에는 단축키를 쉽게 확인하고 단축키를 지정할수 있는 기능이 있다. 게임엔진 답게 다른 프로그램보다 확인하기 쉽게 되어있다. 한번 보도록 하자. 우선 쇼우올컷 을 키는 법은 Edit -> Shortcuts..아래와..

Unity 2022버전 부터는 에디터 기능Spline이 새롭게 추가되었다. 이글은 2022.1.20f1 버전으로 spline 1.01 버전을 사용하였다. 이전 버전에선 직접 만들거나 에셋으로 사용하던 기능이 추가된것이다. 어떻게 추가되었는지 확인해 보자 자세한 내용과 코드 라이브러리를 확인할수 있는 주소다. https://docs.unity3d.com/Packages/com.unity.splines@1.0/api/UnityEngine.Splines.SplineUtility.html Class SplineUtility | Splines | 1.0.1 Class SplineUtility A collection of methods for extracting information about Spline type..

추가된 기능이나 api는 이후 추가 예정입니다. 해당방식은 api를 사용하는 방식을 보여준것입니다.해당 방식을 사용해 그대로 key를 하드코딩한다면 어플리케이션을 제작할 경우 api key의 보안에 문제가 생길수 있습니다.더보기최근 OpenAI 에서 ChatGPT를 드디어 테스트를 끝내고 상용화 하였다고 하여서Unity로 사용할수 있게 하였다. 제작버전 2023.3.11f1 https://platform.openai.com/docs/api-reference/chat/create OpenAI APIAn API for accessing new AI models developed by OpenAIplatform.openai.comChatGPT API 는 기본 ChatGPT 웹 에서 사용하는것과는 달리AP..

유니티 2021 버전부터는 Unity Simulator라는 것을 제공한다. Game 창의 좌상단의 화살표를 클릭하면 Game화면과 Simulator화면을 선택할 수 있다. Simulator로 변경하면 위 사진처럼 변경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상단 목록 창의 상단에는 위 같은 목록들을 확인할 수 있는데 좌측부터 순서대로 1. 화면 실행 뷰 선택[Game, Simulator] 2. 원하는 기종 선택 3. 화면 확대, 축소 4. (3) 번의 확대, 축소 한 화면을 원상복귀 5.Rotate [좌, 우] 화면 돌리기 6.Safe Area 와 같은 6가지 항목들이 존재한다. 이중에 6번 항목을 키는 경우 위 사진처럼 노란 테두리가 생기는데 이 역시 새롭게 추가된 기능으로 노치 디자인에 ui가 가려 버리는 사태를 ..

Unity 에서 Redis 서버를 사용해보자 Unity 버전 2019.4.15f1 NuGet의 StackExchange.Redis를 사용했다. 설치&세팅 visual studio의 NuGet에서 Plugin을 다운받고 사용하면 사용이 안된다. 사용이 안되는 이유는 두가지로 1. 유니티 내부에 있어야한다. 2. 유니티에서 호완하는 버전이 아니다 1. 누겟 페키지를 다운받았으면 다운받은 파일에 들어가서 dll 파일과 xml 파일을 unity Assets 파일에 Plugin 파일을 만들어서 넣어준다 2. 유니티 2019버전에서는 Redis 2버전대가 호환이 안된다 그럼으로 1.5버전을 다운받아서 넣어주면 된다. 사용법 그뒤로 unity 내부에서 사용하는 방법은 매우간단하다. private ConnectionM..

2018버전부터 Prefab Variants 라는것을 지원한다. Prefab Variants 는 프리펩의 자식 계념이라 생각하면 쉽다. 아래 그림처럼 기존 프리팹을 바꿔서 Original 프리팹을 재생성 하게되었을때 두개로 나뉘어버린 프리팹에 같은걸 추가하고 싶을땐 둘다 다시작업을 해주는 경우가 생긴다 이런경우 Variants 프리팹을 사용하면 아래 사진처럼 부모 프리팹을 수정하면 자식 프리팹도 수정이 된다. 왼쪽이 기존 프리팹 예시이고 오른쪽이 variants 예시다. 프리팹을 새로 만든후, 붉은 네모를 원본에 넣었을때 아래 예시처럼 작동한다. 모두 붉은 박스를 넣어주려고 할때 왼쪽이미지 처럼 복사 하여 생성한 프리팹은 붉은 박스를 전부 넣어주는 시간이 들어간다. 하지만 프리팹을 부모로 두고 varia..

목차1.인스펙터창 목록2.인스펙터창 구성3.인스펙터창 어트리뷰트 코드 인스펙터 창 우클릭 시Debug-Normal 모드 : 창 모드 변경Expand All Components : 세부 정보 펴기Collapse All Components: 세부 정보 접기Lock : 현재 component로 계속 보이게 지정Maximize : 전체 화면UIElements Debugger & UIToolkit Debugger : 유니티 화면 구성이 나오는 창 컴포넌트 우클릭 시Reset : 초기화 (초기 세팅 값으로 돌아감)Move Down-UP : 컴포넌트끼리의 위치 조정Copy Component : 내부 값들 복사Paste Component As New : 새로 복사Paste Component Valuse : 값..
- Total
- Today
- Yesterday
- 타잔 알고리즘
- 프로그래머스:여행경로
- 토마토맛토
- 티스토리챌린지
- Topologically sorted
- ??
- 알고리즘
- 노미노
- Algorithm
- 토맛토마토
- tarjan
- cpp 알고리즘
- 함수
- 무료 gpt 유니티
- Cpp
- 내가 자주씀
- 영우의 방청소
- 색종이 자르기
- unity
- 유니티
- null
- c#
- 석유 시추
- 구간끼리 덧셈
- 프로그래머스
- HDRP
- 유니티 데칼 (decal)
- 백준
- 도넛과 막대그래프
- 오블완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